스탠포드 대학의 사회 심리학자인 캐롤드웩 교수가 뉴욕의 5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내용입니다. 

 

첫번째 단계로 아주 쉬운 문제를 아이들에게 풀게합니다. 점수가 나오면 아이와 대면하면서 칭찬을 해 줍니다. 정확히 절반의 아이들에게는 "너 참 똑똑하구나" 라고 그 아이의 지능에 대해서 칭찬을 해줍니다. 나머지 아이들에게는 "너 참 애 썼구나" 라고 아이의 노력에 대해서 칭찬을 해 줍니다.

 

 

두번째 단계는 시험을 보는데, 두가지 시험 유형중에서 한가지 유형을 아이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물론 아이들에게 하나의 유형은 어려운 문제들이고, 나머지 하나의 유형은 비교적 쉬운 문제들인것을 알려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노력(너 참 애 썼구나)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의 90%는 어려운 시험 유형을 선택했지만, 지능(너 참 똑똑하구나)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대부분이 쉬운 시험을 골랐다는 것입니다.

 

 

 

 

스탠포드 대학의 캐롤드웩 교수는 "아이들에게 머리가 좋다던가, 아니면 재능이 있다던가 그런 말을 어른들이 하게 되면, 아이들은 안전 지향으로 인생을 살수밖에 없습니다. 부모님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자신의 지능이나 재능에 대한 칭찬을 받고 자란 아이들은 어려움이나 실패를 맞이하게 되면 그걸 인정하지 못하고 결국 주저 않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세번째 단계는 모든 아이들에게 어려운 시험을 치르게 했습니다. 노력에 대해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어려운 문제를 반겼고 굉장히 깊이 있게 몰두했습니다. 심지어 몇몇 아이들은 그 문제를 풀기도 했습니다. 그럴 필요까지는 없었는데도 말입니다. 반면에 지능이나 재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어려운 시험앞에 낙담하고 실망했습니다. 

 

 

네번째 단계 마지막 시험은 첫번째 단계와 같은 동일한 난이도의 쉬운 문제들이었습니다. 노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첫번째 시험때 받은 성적보다 30% 정도가 올라갔고, 지능과 재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20% 정도 성적이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스탠포드 대학의 캐롤드웩 교수는 "아이들의 재능과 지능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발달시킬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재능이나 지능에 대해서만 칭찬하는것은 상당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아이들은 고정된 사고 방식을 갖게 되고 동기와 성과를 약화 시킬수가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