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주어진 일을 하다 보면 크고 작은 고난에 부딪치게 마련이다. 누구나 고민은 한다. 고민하더라도 입 박으로 내색하지 말자. 고민이 되든 안 되든 당신이 풀어야할 일이다. 특히 당신이 상습적으로 고민을 풀어놓는 대상이 당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더욱 입을 다물어야 한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그리고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서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한다. 설명을 듣고도 이해되지 않는데, 무시 당할까봐, 쑥스러워서 묻지 않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더 큰 실수를 부를수도 있다. 모르는 것이 있다면 씩씩하게 물어봐야 한다.

 

하지만 질문의 내용이 사실 확인이 아닌 어떤 방법이나 방안에 대한 것이라면 자신이 먼저 생각도 해보지 않고 묻는것은 문제가 있다. 누군가에게 묻기 전에 당신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한다.​ 질문은 그 후에 해도 늦지 않다. 질문의 절제는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도 모른체 상대방에 맞장구를 친다. 

상대방의 의견이 왜! 좋은지에 대한 이유가 서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 장구를 치지 마라. 일이 잘 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이 의견을 낸 사람에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자 풀리지 않는다면 원망의 대상에 당신이 포함될 수 있다. 

 

4. '네!' 라는 대답을 듣고도 상대방을 설득하려 한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뒤에도 설득하려 하지 마라. 당신의 처지를 다시 설명하고 재차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공감을 얻어야만 안심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5. '죄송해요!" 라는 말을 남용한다. 

"죄송합니다. 잘 몰랐습니다." 라는 자주 말하는 것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말이다. 일 처리 과정에서 당신의 잘못이 있었다면 "죄송하다." 라는 애매한 말 대신에 "왜! 이런 실수가 발생했는지?" 를 설명하고,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한다.

 

습관적으로 말하는 "죄송하다." 는 상대방에게 자신을 배려한다는 느낌보다는 "무관심하다." 라는 느낌을 줄수 있다.

 

6. '그럼. 제가 해 볼께요.'  

스스로 함정에 빠지는 말이다.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 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당신이 업무 외적인 일에 자주 나선다면 조직은 그걸 당연시하게 된다.

 

그 일이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판단이 서면 그때 나서라. 이 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쓸데없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당신이 하지 않아도 상관없는 일이라면 그 일은 머리속에서 지우는게 도움이 된다.

 

7. 부정적인 의견을 되 묻는다. 

조직은 각양 각색의 사람이 모인 곳이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차가 있을수도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당신이 스스로에 대해 확신이 선 상태에서 일을 추진할 경우, 태클 세력들에 대해서 "왜요! 뭐가 잘못됐죠?" 하고 되묻지 마라. 쓸데 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 것이다.

+ Recent posts